반응형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인터넷을 동작하는 근간이라고 할 수 있음
웹의 초창기,
웹은 4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었음
- HTML: 웹 페이지를 만드는 컴퓨터 언어
- URL, URI: 원하는 웹페이지에 방문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주소 체계
- Web browser, Web server: 웹 페이지를 주고 받는 소프트웨어
- HTTP: 웹 브라우저와 웹서버가 통신을 할 때 지키는 통신 규칙
웹이 발전함에 따라,
HTTP의 단순한 기능만으로 성능, 보안, 안정성을 확보하기에 힘들어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TTP의 기능을 풍부하게 만듦
오늘날에는 HTML 뿐만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전송하는 중요한 프로토콜로 발전
HTTP
클라이언트 → Request → 서버
클라이언트 ← Response ← 서버
(여기서 클라이언트는 웹 브라우저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컴퓨터, 서버는 웹 서버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컴퓨터)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다양한 컨텐츠를 주고 받기 위해서 서로가 알아들을 수 있는 메세지가 필요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페이지를 Request(요청)하면 서버는 해당 파일을 찾아 HTTP Response(응답)를 통해 클라이언트에 전송
서버로부터 전송된 페이지: 응답페이지
클라이언트는 이 응답페이지를 Rendering(해석)하여 화면에 보여줌
Chrome 브라우저 - Inspect - Network 탭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하는 통신을 모니터링 할 수 있음
'Java 및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JSP 개념과 태그의 종류 (0) | 2021.07.31 |
---|---|
[Java] 향상된 For 문 (0) | 2021.07.30 |
[JSP] Tomcat 개발환경 구축 (0) | 2021.07.29 |
[Java] For 구문과 1차원 배열로 로또 번호 추첨기 생성 (0) | 2021.07.28 |
[Java] 참조형 변수와 배열 (0) | 2021.07.27 |